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쓰지모토 기요미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도쿠나가 에리다나부 마사요다카기 마리고니시 히로유키미즈노 모토코
렌호스기오 히데야사이토 요시타카후쿠야마 데쓰로고가 유키히토
쓰지모토 기요미오니키 마코토고가 치카게시바 신이치무라타 교코
아오키 아이이시바시 미치히로미즈노 모토코가쓰베 겐지요코사와 다카노리
이시가키 노리코오누마 다쿠미구마가이 히로토나가하마 히로유키시오무라 아야카
마키야마 히로에미즈노 모토코우치코시 사쿠라하타 지로타지마 마이코
모리모토 신지노다 쿠니요시기시 마키코미즈오카 슌이치오자와 마사히토
모리야 다카시가와다 료헤이이시카와 타이가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shuugiin_logo.png 일본 중의원 (오사카 10구)
제41대
이시가키 가즈오
제42대
쓰지모토 기요미
제42대[1]
마쓰나미 겐타
제44대
마쓰나미 겐타
제45대
쓰지모토 기요미
제46대
마쓰나미 겐타
제46대
마쓰나미 겐타
제47~48대
쓰지모토 기요미
제49대
이케시타 다쿠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

입헌민주당(2017년)
국회대책위원장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 초대
쓰지모토 기요미 || 2대
아즈미 준 ||
||<-2><bgcolor=#ffffff,#191919> ||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

입헌민주당(2017년)
정무조사회장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5%> 초대
쓰지모토 기요미 ||<width=25%> 2대
나가츠마 아키라 ||<width=25%> 3대
오사카 세이지 ||
||||||<bgcolor=#ffffff,#191919> ||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

입헌민주당(2017년)
간사장 대행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00%> 초대
쓰지모토 기요미 ||
||<bgcolor=#ffffff,#191919><-2> ||




파일:민진당 로고 하얀색.svg 민진당(일본) 간사장 대행
[ 펼치기 · 접기 ]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민주당
지도부
||
[ 펼치기 · 접기 ]

독립기구 (선거대책위원회)
선거대책위원장겐바 고이치로선거대책위원장 대리오가와 카츠야
다마키 유이치로
선거대책부위원장야마오 시오리
상임의결기관 (양원의원총회)
양원의원 총회장나오시마 마사유키대의사회 회장나카가와 마사하루
중앙당 지도부
대표오카다 가쓰야대표대행나가츠마 아키라
무라타 렌호
부대표 (참)기타자와 도시미
카미모토 미에코
부대표 (중)오하타 아키히로
하라구치 가즈히로
당무집행기구
간사장에다노 유키오간사장 대리곤도 쇼이치
후쿠야마 데쓰로
부간사장마부치 스미오 | 히로타 하지메 | 스즈키 카츠마사 | 오가와 준야 | 니시무라 지나미 | 테라다 마나부 | 야나기사와 미츠요시 | 시바 히로카즈 | 이시바시 미치히로 | 야스이 미사코
정책조사회
정책조사회장호소노 고시정책조사회장 대리쓰지모토 기요미
오시마 아쓰시
오쓰카 고헤이
정책조사부회장곤도 요스케 | 반노 유타카 | 고미야마 야스코 | 오카모토 미쓰노리 | 다지마 잇세이 | 나카네 야스히로 | 와시오 에이이치로 | 오니시 겐스케 | 고토 유이치 | 사사키 다카히로 | 오가타 린타로 | 카미야마 요스케 | 고야마 노부히로 | 나카지마 카츠히토 | 후쿠시마 노부유키 | 가네코 에미 | 카자마 나오키 | 고니시 히로유키 | 사이토 요시타카 | 니시무라 마사미 | 이시가미 도시오 | 이소자키 데쓰지 | 모리모토 신지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국회조직
국회대책위원장다카키 요시아키국회대책위원장 대리아즈미 준
국회대책부위원장류 히로후미 | 야마노이 가즈노리 | 이즈미 겐타 | 오구시 히로시 | 유노키 미치요시 | 니시무라 지나미 | 오쿠노 소이치로 | 미야자키 다케시 | 다마키 유이치로 | 모토무라 켄타로 | 후쿠시마 노부유키 | 오가타 린타로 | 야마오 시오리 | 고야마 노부히로
참의원 의원회장군지 아키라참의원 간사장하타 유이치로
참의원 의원 부회장오가와 카츠야
아이하라 쿠미코
야나기사와 미츠요시
참의원 간사장 대리후쿠야마 데쓰로
히로타 하지메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신바 가즈야참의원 국회대책부위원장노다 쿠니요시
하마노 요시후미
고문단
최고고문노다 요시히코
요코미치 다카히로
에다 사쓰키
아카마츠 히로타카
상임고문하타 쓰토무
와타나베 고조
나카이 히로시
나카노 칸세이
카노 미치히코
후지이 히로히사
히라타 켄지
가이에다 반리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역대 당대표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민주당(일본 1998년) 간사장 대리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width=25%> 초대
하토야마 유키오 ||<width=25%> 제2대
구마가이 히로시 ||<width=25%> 제3대
마에하라 세이지 ||<width=25%> 제4대
오카다 가쓰야 ||
||<width=25%> 제5대
기타하시 겐지 ||<width=25%> 제6대
하치로 요시오 ||<width=25%> 제7대
히라노 히로후미 ||<width=25> 제8대
겐바 고이치로 ||
||<width=25%> 제9대
공석 ||<width=25%> 제10대
오자와 사키히토 ||<width=25%> 제11대
히라노 히로후미
히라타 겐지 ||<width=25%> 제12대
노다 요시히코
히라타 겐지 ||
||<width=25%> 제13대
고시이시 아즈마 ||<width=25%> 제14대
호소노 고시 ||<width=25%> 제15대
에다노 유키오 ||<width=25%> 제16대
후지무라 오사무 ||
||<width=25%> 제17대
조지마 고리키 ||<width=25%> 제18대
스즈키 카츠마사 ||<width=25%> 제19대
이치카와 야스오 ||<width=25%> 제20대
마쓰모토 다케아키
이치카와 야스오 ||
||<width=25%> 제21대
마부치 스미오
야나기다 미노루 ||<width=25%> 제22대
류 히로후미
야나기다 미노루 ||<width=25%> 제23대
우부카타 유키오
쓰지모토 기요미
가토 도시유키 ||<width=25%> 제24대
기쿠타 마키코
미즈오카 슌이치 ||
||<width=25%> 제25대
곤도 쇼이치
후쿠야마 데쓰로 ||
||<-4><bgcolor=#ffffff,#191919> ||




파일:社民党ロゴwhite.svg 사회민주당(일본) 국회대책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0%> 초대
이케하타 세이이치 ||<width=10%> 제2대
아키바 다다토시 ||<width=10%> 제3대
마에지마 히데유키 ||<width=10%> 제4대
나카니시 세키스케 ||
||<width=10%> 제5대
요코미츠 카츠히코 ||<width=10%> 제6대
시게노 야스마사 ||<width=10%> 제7대
히모리 후미히로 ||<width=10%> 제8대
쓰지모토 기요미 ||
||<width=10%> 제9대
데루야 간토쿠 ||<width=10%> 제10대
요시카와 하지메 ||<width=10%> 제11대
데루야 간토쿠 ||<width=10%> 제12대
아라가키 구니오 ||
||<-4><bgcolor=#ffffff,#191919><(>||




파일:社民党ロゴwhite.svg 사회민주당(일본) 정책심의회장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0%><#ffffff> 초대
이토 시게루 ||<width=10%><#ffffff> 제2대
오이카와 가즈오 ||<width=10%><#ffffff> 제3대
아키바 다다토시 ||<width=10%><#ffffff> 제4대
하마다 켄이치 ||
||<width=10%><#ffffff> 제5대
쓰지모토 기요미 ||<width=10%><#ffffff> 제6대
오오와키 마사코 ||<width=10%><#ffffff> 제7대
아베 도모코 ||<width=10%><#ffffff> 제8대
요시다 다다토모 ||
||<width=10%><#ffffff> 제9대
요시카와 하지메 ||<width=10%><#ffffff> 제10대
핫토리 료이치 ||<width=10%><#ffffff> 제11대
아라가키 구니오 ||
||<-4><bgcolor=#ffffff,#191919><(>||



[1] 쓰지모토 기요미 본인의 비서관 급여 횡령 의혹으로 인한 자진 사퇴로 보궐선거가 치러짐.

일본국 제41-42·44-48대 중의원 의원
일본국 제26대 참의원 의원

쓰지모토 기요미
辻元清美 | Tsujimoto Kiyomi
파일:쓰지모토 기요미.jpg
출생1960년 4월 28일 (64세)
나라현 요시노군 오요도정
학력나고야대학 교육학부 부속고등학교 (졸업)
와세다대학 교육학부 (교육학 / 학사)
정당

파벌생추어리
의원 선수7 (중)
1 (참)
의원 대수41, 42, 44, 45, 46, 47, 48 (중)
26 (참)
지역구오사카 10구 (중)
비례대표 (참)
현직제26대 일본 참의원
참의원 헌법심사회 간사
약력유엔 지구 써밋 NGO 대표
중의원 의원 (제41-42·44-48대)
사회민주당 간사장 대리
사회민주당 홍보위원장
사회민주당 정책심의위원장
사회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
일본국 국토교통성 부대신
재해프론티어 담당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민진당 간사장 대행
입헌민주당 국회대책위원장
입헌민주당 정무조사회장
입헌민주당 간사장 대행
참의원 의원 (제26대 / 전국 비례)

1. 개요
2. 생애 및 정치 활동
3. 정치 성향
4. 소속 정당
5. 선거 이력
6. 여담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의 정치인.


2. 생애 및 정치 활동[편집]


나라현 요시노군 오요도정에서 태어나 오사카부 타카츠키시에서 자랐다. 나고야대학 교육학부 부속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2년간 백화점 점원으로 근무하다가 와세다대학 교육학부를 졸업한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83년,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가 발생하자 아시아 국가들과 일본 간의 교류 활성화를 위한 목적으로 NGO 단체인 ‘피스 보트(Peace Boat)’를 설립한다. 이 단체는 아시아를 비롯한 각지의 사람들과 교류를 하겠다는 목적으로 장기간의 선박 여행을 기획하는 단체다. 이후에도 유엔 지구 써밋 NGO의 대표를 맡는 등 시민운동을 이어갔다.

그러던 1996년, 사회민주당 당수인 도이 다카코에게 정계 입문을 권유받아 정계에 입문해 41회 중원선에서 긴키 블럭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이후 사회민주당에서 간사장 대리, 홍보위원장 등의 당직들을 맡았다. 2000년 42회 중원선에서 자신이 어린 시절을 보낸 타카츠키시가 속한 오사카 10구에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댔다.

그러나 2002년에 비서관 급여 횡령 논란이 터지면서 쓰지모토는 책임지고 의원직을 사퇴했다. 이후 수사를 통해 논란의 내용들이 사실로 확인되면서 2003년 7월에 구속되었고, 쓰지모토는 사건 직후 증거 인멸을 시도한 것을 인정했다. 2004년 2월, 도쿄지방법원은 비서관 급여 1840만엔을 가로채고 이를 숨긴 것에 대해 사기 혐의를 적용하여 쓰지모토에게 징역 2년, 집행유예 5년을 선고했다. 쓰지모토는 집행유예 기간 중 치러진 제20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사회민주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오사카부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당연히 낙선했다.

낙선 후 다시 사회민주당으로 복당해 2005년 44회 중원선에서 원래 지역구였던 오사카 10구에 출마해 비례부활로 당선되었으며 2009년 45회 중원선에서 민주당 추천을 받아 당선됐다.

당선 후 사회민주당의 국회대책위원장을 역임하면서 민주당, 사회민주당, 국민신당의 연립 정권 탄생에 일조하였으며, 쓰지모토 본인은 마부치 스미오와 같이 국토교통성 부대신에 취임했다.[1]

2010년 2월 4일, 국토교통의 공공사업 예산 배분에 관한 정보를 민주당 지방 조직에 유출시킨 마부치 스미오의 경질을 요구한 자유민주당에 대해 과민 반응한다며 기각했다.

그러다가 2010년 5월, 후텐마 기지 이전 문제에 대해 당시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이었던 후쿠시마 미즈호 당수가 미국과의 합의를 반대하자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가 후쿠시마를 대신직에서 파면하여 사회민주당의 연정 이탈 여부를 두고 논란이 벌어졌다. 쓰지모토는 당의 연정 이탈에 반대했으나 당은 결국 연정 이탈을 결정하고, 쓰지모토는 이에 항의하면서 국토교통부대신직을 사퇴하고 사회민주당을 탈당했다. 탈당 후 도호쿠 대지진이 발생하자 간 제2차 개조내각에서 재해프론티어 담당 내각총리대신 보좌관을 역임하다가 2011년 노다 내각이 출범하면서 민주당에 입당했다.

이후 46회 중원선에서 오사카 10구에 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해 비례부활로 당선됐다. 이후 47회 중원선, 48회 중원선에서 연속으로 당선됐다.

그러나 49회 중원선에서 일본 유신회의 정치신인인 이케시타 다쿠에게 완패하여 비례부활을 못하고 낙선하였다.연합뉴스, 뉴시스

쓰지모토 기요미 낙선 관련 뉴스 영상

이후 아사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선거 참패에 대해 술회하면서 향후 야당 공투 기조를 유지하더라도, 공산당과의 연대에만 생각이 갇혀 자민당에 의해 역선전을 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는 감상을 밝혔다. 2021년 입헌민주당 대표 선거에서 같은 여성에게 힘을 실어준다는 생각으로 니시무라 지나미 후보를 지지했다고 밝혔다.#

2022년 7월 10일 열린 26회 참원선에서 비례대표 후보로 공천되었고, 당 내 후보 중에서 가장 먼저 당선되었다. 참의원으로서는 첫 국회 입성. 개인 표에서 무려 428,859표를 쓸어가며 입민당의 비례대표 득표수를 견인했다. 2위로 당선된 오니키 마코토 후보와 득표수 차는 25만표에 달하며 민주당계 정당의 역사를 통틀어봐도 역대 비례대표 득표수 2위의 기록이다.[2] 단순 계산으로도 입헌민주당이 얻은 비례표의 약 6.3%를 개인 한명이 받은 것이다. 게다가 참원선의 참패로 인해 당권을 잡고 있던 신정권연구회 등 보수-중도파의 입지가 약해진 만큼, 당내 진보파에 속하는 쓰지모토의 입지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참원선 이후 방송에서 당의 미래에 대한 질문을 받자 당이 쇄신의 방향으로 향할 것이라 밝히며 당의 쇄신이 필요하다고 발언했고 사이토 렌호 의원도 이에 동의했다.# #

이후에는 참의원으로 재직하면서 입헌민주당의 주요 창립 멤버 중 하나로 대우받고 있다.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경합 선거구에 에다노 유키오 전 대표 등 초대 지도부와 함께 유세를 다니면서 지지를 호소했다.


3. 정치 성향[편집]


아사히 신문 · 도쿄대 다니구치 연구실 공동 조사
2021년 중의원 선거 후보자 정보 - 쓰지모토 기요미
이슈질문답변
개헌헌법 개정<colcolor#000> 반대
정부사회복지 등 정부의 서비스가 나빠져도 예산이 들지 않는 작은 정부가 더 낫다.반대
일자리 확충공공 사업을 통한 일자리 확충은 필요하다.조금 찬성
소비세한시적이거나 영구적으로 소비세율을 낮춰야 한다.찬성
재정 지출당장은 재정 재건을 위한 세출의 억제보다는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 투입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찬성
격차 해소A: 사회적 격차가 다소 있더라도 경제 경쟁력 향상을 우선해야 한다.
B: 경제 경쟁력을 다소 희생하더라도 격차 시정을 우선해야 한다.
조금 B
제정 적자A: 국채는 안정적으로 소화되고 있어 재정 적자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B: 재정적자는 위기 수준이기 때문에, 국채 발행을 억제해야 한다.
조금 B
부자 증세소득이나 자산이 많은 사람에 대한 과세를 강화해야 한다.찬성
법인세 증세기업들이 내는 법인세율을 인상해야 한다.중립
산업A. 국내 산업을 보호해야 한다.
B: 무역과 투자의 자유화를 추진해야 한다.
조금 A
후쿠시마 오염수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처리수의 해양 방출은 어쩔 수 없다.반대
치안·인권치안을 유지하기 위해 개인 정보 보호 및 개인의 권리가 제한되는 것은 당연하다.반대
동성혼동성간의 결혼을 법적으로 인정해야 한다.찬성
동성애 법안LGBT 등 성 소수자를 둘러싼 '이해 증진' 법안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찬성
외국인 노동외국인 노동자의 수용을 추진해야 한다.중립
탈원전A: 지금 바로 원자력 발전을 폐지해야 한다.
B: 앞으로도 원자력 발전을 에너지 원의 하나로 유지해야 한다.
A
부부별성부부가 원하는 경우, 결혼 후에도 부부가 각각 혼전 성을 유지하는 것을 법률로서 인정해야 한다.찬성
핵개발비핵 3원칙[3] 을 견지해야 한다.찬성
국방일본의 방위력은 더 강화해야 한다.조금 반대
선제 공격타국으로부터의 공격이 예상되는 경우 선제 공격도 주저해서는 안 된다.반대
대북관계북한에 대해 대화보다 압력을 우선해야 한다.조금 반대
후텐마 기지오키나와현 후텐마 기지의 헤노코 매립지 이전은 부득이한 일이다.반대
미일안보조약A: 위기 때 미국과의 협력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미일 안보조약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B: 일본과 관계없는 전쟁에 말려들지 않도록 미일 안보조약 강화에 신중해야 한다.
조금 B
중국 위협론A: 중국은 일본에 위협이 된다.
B:일본에 있어서 중국은 파트너이다.
조금 B
참의원 선거A: 한 표 격차 시정을 위해서도 참의원 선거구의 합구는 허용돼야 한다.
B: 참의원 선거구의 합구를 해소하기 위해서도 일정 범위 내의 한 표 격차는 허용되어야 한다.
중립
코로나19 대책치료 체제의 확충, 치료약 및 백신 개발·확보, 소비세 감세
'조금'의 답변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자면(どちらかと言えば)'이며 '중립'은 '어느 쪽도 아니다(どちらとも言えない)'이다.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1996 - 2004정계 입문

무소속

2004 - 2005무소속 출마로 탈당


2005 - 2010복당

무소속

2010 - 2011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2011 - 2016입당


2016 - 2017당명 변경

무소속

2017입헌민주당 합류를 위한 탈당


2017 - 2020창당


2020 -합당[4]


5.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6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긴키 권역 비례대표

?당선 (1위[A]/13번)초선
2000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오사카 10구55,839 (29.70%)당선 (1위)재선[5]
2004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오사카
무소속

718,125 (19.67%)낙선 (4위)
2005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오사카 10구

68,614 (31.53%)낙선 (2위)
당선(석패율 비례대표)3선
2009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09,693 (50.53%)당선 (1위)4선
2012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5,411 (33.29%)낙선 (2위)
당선(석패율 비례대표)5선
2014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61,725 (34.35%)당선 (1위)6선
2017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5,788 (42.77%)당선 (1위)7선
2021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66,943 (33.35%)낙선 (2위)
2022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비례대표428,859 (6.33%)[6]당선 (1위[A]/4번)초선


6. 여담[편집]



7. 둘러보기[편집]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민주당(일본 1998년)의 계파 분류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50%><-2><rowbgcolor=#DA2128> 호헌파 ||<width=25%> 중립 ||<-3><width=25%> 개헌파 ||
||<width=25%> 생추어리
아카마츠 히로타카
요코미치 다카히로
사사키 다카히로
아베 도모코
쓰지모토 기요미
가이에다 반리
하치로 요시오
곤도 쇼이치
군지 아키라
오사카 세이지 ||<width=25%> 나라의 모습 연구회
간 나오토
에다 사쓰키
아라이 사토시
니시무라 지나미
에다노 유키오
하쿠 신쿤
구로이와 다카히로
나가츠마 아키라
스에마쓰 요시노리
야마노이 가즈노리 ||<width=25%> 화제회
노다 요시히코
무라타 렌호
나가하마 히로유키
구로이와 다카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타케마사 코이치
곤도 요스케
아즈미 준
마부치 스미오 ||<width=25%> 료운카이
마에하라 세이지
에다노 유키오
아즈미 준
이즈미 겐타
와타나베 슈
야마노이 가즈노리
야마오 시오리
후루카와 모토히사
다마키 유이치로
오쓰카 고헤이
아다치 신야
다지마 가나메
카미야마 요스케
기이 다카시 ||
|| 소교회
오하타 아키히로
카노 미치히코
오시마 아쓰시
나카야마 요시카츠
시노하라 다카시
다나부 마사요
마시코 데루히코 || 민사협회
다카키 요시아키
가와바타 다쓰오
요네자와 다카시
나카노 간세이
이토 에이세이
신바 가즈야
기쿠타 마키코
후루모토 신이치로
야나기다 미노루 || 지세이카이
호소노 고시
시나 다케시
쓰무라 게이스케
고미야마 야스코
류 히로후미
신바 가즈야
유노키 미치요시
사쿠라이 미쓰루
기카와다 토오루
구시부치 마리 || 정권전략연구회
하타 쓰토무
하타 유이치로
하라구치 가즈히로
마쓰바라 진
가네코 에미
마쓰자와 시게후미
나카가와 마사하루 ||
|| 리버럴회
곤도 쇼이치
히라오카 히데오
니시무라 지나미
하쿠 신쿤
시노하라 다카시
데라다 마나부 || 청산회
다루토코 신지
마쓰모토 다케아키
마쓰노 요리히사
고미야마 야스코
류 히로후미
모리야마 히로유키 || 「일본의 그랜드 디자인」 연구회
겐바 고이치로
오구시 히로시
고토 유이치
후쿠시마 노부유키
구로이와 다카히로
가네코 에미
기시모토 슈헤이 || 국가 축의 모임
나가시마 아키히사
와시오 에이이치로
기라 슈지
오노 모토히로
키타가미 케이로
하마노 요시후미
노마 다케시 ||
||<-2> 정권공약을 실천하는 모임
하토야마 유키오
오카다 가쓰야
마쓰바라 진
후쿠다 아키오
오시마 아쓰시
신바 가즈야
가와바타 다쓰오
다카키 요시아키 ||<-2> 일신회
오자와 이치로
기쿠타 마키코
고미야마 야스코
모리 유코
마쓰키 겐코
아오키 아이
사토 고지 ||



파일:민진당 로고 하얀색.svg 민진당(일본)의 계파 분류
[ 펼치기 · 접기 ]

호헌파중립개헌파
생추어리
아카마츠 히로타카
요코미치 다카히로
사사키 다카히로
아베 도모코
쓰지모토 기요미
가이에다 반리
하치로 요시오
군지 아키라
오사카 세이지
곤도 쇼이치
나라의 모습 연구회
간 나오토
에다 사쓰키
에다노 유키오
아라이 사토시
오가와 도시오
니시무라 지나미
사사키 다카히로
하쿠 신쿤
구로이와 다카히로
나가츠마 아키라
야마노이 가즈노리
화제회
노다 요시히코
무라타 렌호
나가하마 히로유키
구로이와 다카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타케마사 코이치
곤도 요스케
아즈미 준
마부치 스미오
시게토쿠 가즈히코
료운카이
마에하라 세이지
에다노 유키오
아즈미 준
이즈미 겐타
와타나베 슈
야마노이 가즈노리
야마오 시오리
후루카와 모토히사
다마키 유이치로
오쓰카 고헤이
아다치 신야
다지마 가나메
카미야마 요스케
기이 다카시
소교회
오하타 아키히로
카노 미치히코
오시마 아쓰시
나카야마 요시카츠
시노하라 다카시
다나부 마사요
마시코 데루히코
민권정경 아카데미
에다 겐지
마쓰노 요리히사
오치아이 다카유키
마쓰키 겐코
마키 요시오
이사카 노부히코
지세이카이
호소노 고시
시나 다케시
쓰무라 게이스케
고미야마 야스코
기카와다 토오루
류 히로후미
신바 가즈야
구시부치 마리
유노키 미치요시
사쿠라이 미쓰루
보수파
에다 겐지
하라구치 가즈히로
후루모토 신이치로
와타나베 슈
겐바 고이치로
류 히로후미
마쓰바라 진
마부치 스미오
민사협회
다카키 요시아키
가와바타 다쓰오
신바 가즈야
기쿠타 마키코
후루모토 신이치로
야나기다 미노루
신정신슈
기타자와 도시미
스기오 히데야
하타 유이치로
시노하라 다카시
시모조 미쓰
이데 요세이
데라시마 요시유키
「일본의 그랜드 디자인」 연구회
겐바 고이치로
오구시 히로시
고토 유이치
가네코 에미
기시모토 슈헤이
국가 축의 모임
나가시마 아키히사
와시오 에이이치로
기라 슈지
오노 모토히로
기타카미 케이로
하마노 요시후미
무계파
오카다 가쓰야
나카가와 마사하루
하라구치 가즈히로
마쓰바라 진
시모조 미쓰









[1] 당시 국토교통대신이 마에하라 세이지였다.[2] 참고로 1위는 22회 참원선에서 507,787표를 득표한 아이하라 쿠미코(相原 久美子)후보.[3] '핵무기를 만들지도, 가지지도, 반입하지도 않는다'[4] 국민민주당과 신설 합당[A] A B 당 내 순위[5] 의원직 사퇴[6] 정당 득표가 아닌 개인 득표다.